희망저축계좌 최대 2,880만원 지원 받는 방법(신청대상, 신청방법, 필요서류)

희망저축계좌 최대 2,880만원 지원 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형성지원 사업 중 하나로 희망저축계좌의 시작이 4월 시작됩니다. 지원금 신청 대상자는 최대 2천 880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꼭 확인하셔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희망저축계좌
    희망저축계좌 총정리

     

    희망저축계좌란?

    근로 능력있는 저소득층에게 3년간 일하면서 저축하면 근로소득 장려금을 추가로 지급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희망저축계좌 1과 희망저축계좌 2로 구분됩니다.

    두가지의 지원대상과 소득기준 그리고 근로소득 장려금이 상이하니 꼭 확인 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 2010년 희망키움통장
    • 2013년 내일키움통장
    • 2014년 희망키움통장2
    • 2018년 청년희망키움통장
    • 2020년 청년저축계좌

     

    기존에 5가지로 시행되었던 자산형성지원사업이 2022년에는 희망저축계좌 1, 2 유형과 청년내일저축계좌로 구분됩니다.

     

    희망저축계좌 1

    나이제한이 없는 상품으로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40%이하인 가구에서 근로활동을 하는 가구원이 있어야 합니다.

    소득기준으로 신청당시 근로 및 사업소득이 중위소득 40% 에서 또 다시 60% 이하인 가구가 가입대상이 됩니다.

     

     

    한달에 최대 50만원 저축을 할때 원금은 1,800만원이 됩니다. 또 매달 30만원의 근로소득장려금을 더하면 1,080만원을 만기시 수령할 수 있는데요. 원금과 장려금을 더한 금액은 2,880만원이며 추가로 이자를 받게 됩니다.

     

     

    희망저축계좌 1
    지원대상 일하는 생계, 의료수급 가구
    소득기준 가구 총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기준이 중위소득 40%의 60% 이상인 가구
    본인적립금 매달 최소 10만원~ 최대 50만원
    근로소득장려금 월 30마원
    만기예상액 50만원 납입시 2,880만원+이자
    지원조건 3년간 근로유지
    생계, 의료 탈수급
    가입기간 3년

     

     

    [소득기준]

    무엇보다도 소득기준이 가장 중요한데 아래에서 월 소득 하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4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이 5,12,1080원 이지만 중위 40%의 소득은 204만 8432원이라고 합니다. 여기에서 60% 이상이면 122만원 이상이 됩니다. 소득이 122만 9,059원을 넘는다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희망저축계좌1 소득하한
    희망저축계좌1 소득하한

     

     

    [지원내용]

    매월 본인이 10만원 이상을 저축하면 추가로 매월 근로소득 장려금을 30만원 지원합니다.

     

     

    3년동안 월 50만원 저축 한다고 가정하면 본인이 저축한 금액 1,800만원과 함께 근로소득장려금 1,080만원과 이자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조건]

    3년동안 근로를 계속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3년 뒤에는 생계급여 수급자 또는 의료급여수급자에서 *탈수급(더이상 혜택 안받음)한다는 조건에 동의를 해야 만기시 지원금과 함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탈수급 장점은?

    탈수급 장려금이 월 2만원 지급됩니다.

    또 자활근로를 하면 매월 20만원의 내일키움장려금+월 15만원 내일키움수익금도 함께 지급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 1차 - 4월 6일(수) ~ 4월 20일(수)
    • 2차 - 5월 2일(월) ~ 5월 19일(목)
    • 3차 - 6월 2일(목) ~ 6월 20일(월)

     

    희망저축계좌_신청기간
    신청기간

     

     

    [신청방법]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및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신청

    온라인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신청가능

     

     

    [신청서류]

    • 신분증
    • 신청서
    • 동의서
    • 근로확인서류(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 고용임금확인서, 통장거래내역서
    • 기타 필요서류

     

    희망저축계좌_신청서류
    신청서류

     

    희망저축계좌 2

    희망저축계좌 2는 근로하는 주거급여를 받는 가구나 차상위계층의 가구가 신청가능합니다.

     

     

    본인적립금원 월 10만원에서 50만원 까지 결정 가능하며 근로소득장려금이 월 10만원 지급됩니다. 희망저축계좌 1보다 적은 금액이지만 그래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대상만 되신다면 신청하셔서 월 10만원 씩 장려금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희망저축계좌 2
    지원대상 일하는 주거급여 및 차상위계층 가구
    소득기준 가구 근로 및 사업소득 발생
    중위 50% 이하 가구
    본인적립금 매달 최소 10만원~ 최대 50만원
    근로소득장려금 월 10만원
    만기예상액 50만원 납입시 2,160만원+이자
    지원조건 3년간 근로유지
    교육 및 사례관리 이수
    사용용도 증빙 50% 이상 완료
    가입기간 3년

     

     

    [지원내용]

    매월 본인이 10만원 이상을 저축하면 추가로 매월 근로소득 장려금을 10만원 지원합니다.

     

    3년 가입기간동안 월 50만원 저축 한다고 가정하면 본인이 저축한 금액 1,800만원과 함께 근로소득장려금 360만원과 이자를  더하여 총 2,160만원을 만기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소득기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이 50% 이하 라면 신청 할 수 있습니다. 가구 구성원 수에 따라 가입 및 유지기준이 상이하니 아래 표를 참조해주세요.

     

    희망저축계좌2 소득하한
    희망저축계좌2 소득하한

     

     

    [가입조건]

    희망저축계좌 1과 똑같이 3년동안 근로를 계속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교육 및 사례관리를 이수하고 *사용용도증빙 50%를 완료해야 합니다.

     

    *사용용도증빙은?

    저축가입기간 3년동안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명시된 용도에 맞는 영수증 등의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주택구입비, 임대비, 본인 및 자녀의 고등교육비, 기술훈련비, 사업 창업자금, 운영자금, 국민연금 본인부담액 납입, 결환자금 관련 증빙서류, 개인자산목적의 ISA 계좌 상품 가입등을 제출 할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 1차 - 4월 6일(수) ~ 4월 19일(화)
    • 2차 신청은 추후 안내 예정

     

     

    [신청방법]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및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신청

    온라인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신청가능

     

     

    [신청서류]

    • 신분증
    • 신청서
    • 동의서
    • 근로확인서류(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 고용임금확인서, 통장거래내역서
    • 기타 필요서류

     

    정리

    대상이 되신다면 원금+근로소득 장려금+이자혜택을 받으실 수 있기 때문에 꼭 신청하셔서 혜택을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희망저축계좌 1,2의 차이점은 신청대상과, 소득구간, 근로소득장려금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1인 가구역시 신청할 수 있으며 나이제한이 없으니 누구든 소득과 신청대상만 된다면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생각됩니다.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대상 신청방법 필요서류(2022년)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대상 신청방법 필요서류(2022년)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대상 신청방법 필요서류에 관련된 내용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면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대상 신청방법 필요서류를 알아두시는 데에 도움이 될 것

    solsol-house.tistory.com

     

     

    2022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 대상 조건 지급일

     

    2022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 대상 조건 지급일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경기도는 2017년 부터 청년들의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기 지원청년기본소득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solsol-house.tistory.com

     

     

    지금까지 희망저축계좌 최대 2,880만원 지원 받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모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정보도 필요하시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드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